공상 허언증
증상 & 극복 방법
안녕하세요.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입니다.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거짓말을 자주 하는 것을 넘어,
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믿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죠.
일반적으로 이들을
‘공상적 허언증 환자’라고 일컫습니다.
다른 말로 ‘리플리 증후군’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오늘은 공상 허언증의 정확한 증상과 진행 과정,
극복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소 거짓말을 자주 한다면,
이번 글을 꼭 읽어주세요.
마음온라인이 건강한 해결 방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공상 허언증이란, 정신질환 중 하나로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이라고 판단한 뒤,
일어난 일에 대해 과장하거나 왜곡해서
말하는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1891년, 안톤 델브뤼크 박사에 의해 처음 소개된
공상 허언증은 거짓말과 망상의 중간 정도 경계에 있는
정신병리학적 증후군인데요.
이러한 공상 허언증은
타인의 관심이나 주목을 받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거짓말을 하거나 상황을 과장하며
타인에게 관심이나 주목을 받는 것을 즐기는 것이죠.

공상 허언증은 크게 4단계로 진행됩니다.
1단계 –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거나
관심을 받기 위해 자기 자신을 더욱 근사하게 포장함
2단계 – 포장을 위한 거짓말을 덮기 위해
또 다른 거짓말을 보태며,
이 과정에서 어느 것이 진실이고 거짓인지
혼란 속에 빠짐
3단계 – 자신의 이런 행동과 말에 당위성을 부여하며
점차 거짓말의 강도를 높임
4단계 – 자신이 만든 거짓의 세계를
완전한 사실이라고 믿으며,
심할 경우 사기 범죄까지 이어짐

그렇다면 공상 허언증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가장 먼저,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는 시간을 가져야만 합니다.
타인의 시선으로 나를 평가하는 습관에서 벗어나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을 하는 것인데요.
나의 장점을 써본다든지, 가족이나 친한 친구에게
나의 장점에 대해 말해달라고 부탁해 보세요.
이러한 시간을 통해 나 자신을 그대로 인정하고
사랑하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타인의 삶을 관찰하는 것이 아닌,
나의 내면에 집중하는 연습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SNS를 보며 타인의 행복을
나의 모습과 비교하지 말고
나의 내면에서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을지 등을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나의 내면에 집중할 수록,
타인을 관찰하는 시간은 점점 줄어들 것입니다.

만약 공상 허언증으로
일상생활에까지 지장을 받고 있다면,
전문 심리상담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심리상담사에게 받는 1:1 상담으로
공상 허언증을 겪게 된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별적인 솔루션을
안내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에는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임상심리학회 등
오직 공인 기관 출신의 1급 선생님들께서만
상담을 진행해 주시고 있습니다.
마음온라인만의 깊이 있는 상담으로
공상 허언증을 건강하게 극복해 보시길 바랍니다.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은
힘든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은
모든 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마음온라인을 찾아 주세요.
아래의 카카오 채널에 들어가 친구 추가를 하시면
더욱 다양한 소식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