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피성 성향,
극복 방법은?
안녕하세요.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입니다.
타인과의 만남, 소통, 갈등을 피하려고 하는
성격장애가 있습니다.
바로, 회피성 성격장애인데요.
회피성 성향은 자신감이 없으며
타인의 거부에 대한 강렬한 두려움이
대표적인 특징으로,
거절과 갈등이 두려워
제대로 된 대인 관계를 맺지 못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회피성 성향이 심해지면 결국
고립감, 우울감, 좌절감에 빠질 수 있는데요.
오늘은 회피성 성향을 건강하게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회피성 성향으로 일상생활 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이번 글을 꼭 읽어주세요.
마음온라인이 올바른 해결 방법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회피성 성향이 강하다면,
하고 싶은 말이나 의견, 감정 표현 등을
계획하고 점진적으로 표현해 보세요.
회피성 성향의 사람들은 해야 하는 말이 있어도,
상대방의 상황을 보며
의사전달을 미루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의사전달이 표현되지 않고 쌓이기만 하면
감정은 감정대로 곪고,
회피적인 성향은 더 세지기만 할 뿐입니다.
감정 표현의 계획표를 만들어서
하루에 일정 부분만큼
의사전달을 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오늘 하고 싶은 말의 10분의 1만 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정 표현을 계획하고 단계적으로 표현한다면,
회피성 성향에서 점점 벗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회피성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관계 형성에 자신이 없으며
대화에 익숙지 못한 특징이 있는데요.
특히, 토론이나 감정적인 언쟁에서
하고 싶은 말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는 경쟁적인 긴장감, 갈등이 고조되는 분위기를
견디기 힘들어하기 때문인데요.
이럴 때 상대방의 말투, 단어를 따라 하는
미러링 화법을 쓰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미러링 화법의 대표적인 인물은 방송인 유재석입니다.
유재석 역시 데뷔 초엔 자존감이 낮고
위축돼 있는 사람이었지만,
타인의 말을 다시 한번 따라 하는 화법을 쓰며
자신만의 진행 기술을 터득했고,
오늘날의 국민 MC가 될 수 있었죠.
예를 들어,
“너는 왜 그렇게 생겼어”라는 박명수의 말에
“제가 왜 그렇게 생겼냐니요”라고만 답하며
그 말을 그대로 되돌려주는 것입니다.
이는 보는 이들에게 웃음을 주며,
동시에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어졌다는 느낌을 줍니다.
어떻게 대화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상대방의 말투, 단어를 따라 하는
미러링 화법을 써보세요.
대화가 훨씬 매끄럽게 흘러갈 것입니다.

회피성 성향이 강하다면,
일부러 도전적인 상황에 노출해 보세요.
예를 들어,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을 자꾸 피하게 된다면
짧은 시간만이라도
친구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만들어보는 것입니다.
도전하는 상황이
너무 어렵거나 힘들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한 후,
점진적으로 노출하는 연습을 한다면
회피성 성향을 극복하는 데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출 과정에서 성공적인 경험이나 어려움을 겪었다면
스스로에게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도전하는 상황에서
스스로 자신감을 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피성 성향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심리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회피적인 성향은 심리적인 부분과
매우 큰 연관이 있기 때문인데요.
전문 심리상담사에게 받는 1:1 상담으로
회피성 성향이 생긴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별적인 맞춤 솔루션을
안내받을 수 있답니다.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에는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임상심리학회 등
공인 기관 출신의 1급 선생님들께서만
상담을 진행해 주시고 있습니다.
마음온라인만의 차별화된 상담으로
회피성 성향을 건강하게 극복해 보시길 바랍니다.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은
상담이 필요한 모든 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언제든지 편하게 발걸음해 주세요.
아래의 카카오 채널을 클릭, 친구 추가를 하시면
더욱 다양한 소식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