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입니다.
’소심한 성격’때문에
사람들의 관계나 사회생활 속에서
힘듦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남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
나의 행동이 잘못된 건지 등
소심하고 눈치를 보는 성격은
자기 자신을 갉아먹으며 괴로움에 빠지게 합니다.
오늘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에서는
이러한 소심한 성격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소심한 성격에서 벗어나
당당한 성격으로 거듭나고 싶다면!
오늘의 글을 꼼꼼히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소심한 성격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거절을 잘 하지 못하며,
사회적으로 다소 무기력한 모습을 보일 수 있는
소심한 성격은 사람들과의 만남이나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에 빠지게 합니다.
내향적인 성격이 강조된 소심한 성격은
어릴 적 형제나 친구들과 비교를 당한 경험으로
형성이 되기도 하며
스스로 가치가 없다고 느껴지게 만든 가정환경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혹은 어떠한 부정적인 사건을 겪은 뒤
소심한 성격으로 변하기도 하는데요.
즉, 소심한 성격은 다양한 외적 원인들로 인해
형성이 됩니다.
본래 성격이라는 것은 상황에 따라 의도적이거나
타인의 영향으로 인해 수없이 바뀌게 되기 때문에
어떤 것이 나의 성격을 바꾸게 하였는지
정확하게 진찰하고 알아가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소심한 성격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그렇다면 소심한 성격의 주요 증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에서는
소심한 성격 증상의 몇 가지 리스트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친한 사람들의 관계에서도 창피를 당하거나
놀림을 당할까 봐 조심한다.
- 사람들과 어울릴 때 비난받고 거절을 당하리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 사교성이 부족하며, 남들에 비해 열등하다고 생각한다.
- 반대, 거절이 두려워 여러 사람들과
교제를 위한 활동을 피하게 된다.
- 곤란해질 것이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새로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매우 꺼려 한다.
-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상황을 피한다.
- 자신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있다.

위의 리스트에서 반 이상 해당된다면,
소심한 성격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주저하고 회피하고
과도하게 자신을 방어하는 소심한 성격은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주원인입니다.
소심한 성격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나요?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에서는
소심한 성격을 극복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으로
‘원인을 찾아야 한다’라고 말씀드립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소심한 성격이 형성되는 원인에는
환경, 사람 등 굉장히 많은 이유들이 있습니다.
나는 왜 소심한 성격인 것인지,
어떤 부분에서 자신감이 사라지는지,
그리고 왜 그 부분에서 움츠러들게 되었는지.
원인을 확실하게 파악하여야만 합니다.

원인을 찾았다면,
그 원인을 고치는 방법을 정리하여
실천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너는 너무 목소리가 작아서 탈이야”라고
타박을 주어, 목소리가 작아졌다면
목소리가 명확히 들릴 수 있게
혼자서 말하기 연습을 한다든지,
목소리를 키우는 연습을 해보는 것입니다.
주눅 든 마음을 떨쳐내기 위해선
자신감 있는 연습이 밑바탕 되어야만 합니다.

끝으로, 소심한 성격을
완벽하기 극복하기 위해선
개인 심리치료를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에서는
다면적인성검사(MMPI) 등
정서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심리 검사도 함께 진행하고 있는데요.
철저하고 정확한 검사를 기반으로 한
깊이 있는 심리 상담으로
소심한 성격을 완벽 극복해볼 수 있습니다.
몇 년 혹은 몇 십 년 이상 고착되어 있던 성격을
한순간에 바꾸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은
내담자 여러분의 편에 서서
차근차근 극복해나갈 수 있도록
함께 걸어나가고 있습니다.
소심한 성격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의 문을 두드려주세요.
온라인 심리상담, 마음온라인은
내담자 여러분들의 행복한 미래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