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젠티즘(Presenteeism): 아픈데도 출근하는 당신, 괜찮을까요?

프리젠티즘

‘프리젠티즘(presenteeism)’이란, 쉽게 말해 몸이 아픈데도 출근하는 현상을 뜻하는데요. 여러분도 감기 몸살이 났는데도 마감 때문에 출근한 경험이 있지 않나요?
하지만 프리젠티즘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 문제가 아니라, 기업 문화와 업무 환경이 얽힌 복합적인 이슈입니다. 오늘은 Miraglia & Johns (2016)의 논문을 바탕으로 프리젠티즘의 정의와 문제점, 그리고 해결책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프리젠티즘이란?

프리젠티즘은 ‘아픈 상태에서 출근하는 것’을 뜻합니다. 학계에서는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하는데요.

  • 단순한 출근: 몸이 아픈데도 출근하는 것
  • 생산성 저하: 아픈 상태에서 근무하면서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것

일반적으로 결근(absenteeism)이 회사에 손해를 끼친다고 생각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결근보다 더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2. 프리젠티즘의 문제점

  • 건강 악화: 아픈 몸을 이끌고 출근하면 회복이 더뎌지고, 장기적으로 건강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 정신 건강 문제: 스트레스와 번아웃이 쌓이면서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업무 능력 저하: 집중력이 떨어지고 실수가 많아지면서 결국 업무 성과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생산성 감소: 직원이 아픈 상태로 일하면 전체적인 팀 퍼포먼스가 떨어집니다.
  • 전염 위험: 감기나 독감 같은 전염성 질환의 경우, 사무실에서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큽니다.
  • 안전 문제: 피로와 집중력 저하로 인해 실수가 늘어나면서, 작업 중 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 결국, 프리젠티즘은 회사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3. 프리젠티즘이 발생하는 원인

  • 건강 상태: 만성 질환이 있거나 몸이 자주 아픈 사람일수록 프리젠티즘을 경험할 확률이 높습니다.
  • 정신 건강: 우울증, 불안 장애가 있는 사람은 몸이 아파도 무리해서 출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직업 태도: 업무 몰입도가 높거나, 직장에 대한 충성심이 강한 직원일수록 결근을 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경제적 부담: 프리랜서, 계약직, 저임금 근로자는 아프더라도 쉬기 어렵습니다.
  • 결근 제한 정책: 병가 사용이 까다롭거나, 결근이 불이익으로 작용할 경우 프리젠티즘이 증가합니다.
  • 고용 불안정: 정규직보다 계약직, 프리랜서, 파견 근로자가 프리젠티즘을 더 많이 경험합니다.
  • 높은 업무량: 야근과 주말 근무가 잦고, 업무량이 많을수록 직원들이 결근을 부담스러워합니다.
  • 조직 문화: “아파도 나와서 일하는 사람이 성실하다”는 분위기가 강한 회사일수록 프리젠티즘이 만연합니다.

4. 프리젠티즘 해결책

  • 유연한 병가 제도 도입: 병가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에 따른 불이익이 없도록 개선해야 합니다.
  • 업무량 조절: 직원들에게 과도한 업무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고, 적절한 인력을 배치해야 합니다.
  • 재택근무 활성화: 아플 때도 재택근무가 가능하도록 하여 직원들이 부담 없이 쉴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 정신 건강 지원: 직원들을 위한 심리 상담, 스트레스 관리 교육, 휴식 공간 제공 등이 필요합니다.
  • 건강 관리: 평소 건강을 챙기고, 몸이 아플 때는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운동, 취미 생활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 일과 삶의 균형: 일에 너무 몰입하는 것보다, 적절한 휴식과 여유를 가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 프리젠티즘을 줄이는 것이 결국 회사의 생산성을 높이는 길!


5. 마무리 – 출근만이 능사가 아니다

예전에는 ‘아픈데도 출근하는 것이 미덕’이라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건강한 직원이 최고의 성과를 낸다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아픈 상태에서 억지로 출근하기보다, 제때 쉬고 건강을 회복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개인도, 회사도 프리젠티즘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출처:
Miraglia, M., & Johns, G. (2016). Going to Work Ill: A Meta-Analysis of the Correlates of Presenteeism and a Dual-Path Model.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1(3), 261–283.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